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조경기사 필기시험 4번째 과목인 조경식재 부분에서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조경식재 수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폐, 녹음, 미화 등 용도에 따라 수종을 적절하게 선정하여 설계 및 식재를 하여야 합니다.

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1. 미화 장식 용수

개념

  • 공원 잔디밭, 건물이나 구조물 주위에 식재되어 경관을 장식
  • 꽃이나 열매 또는 잎이 아름다운 나무를 단독 또는 군식

수종

  • 교목류 :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주목, 동백나무, 자작나무, 목련, 모과나무, 꽃사과나무, 왕벚나무, 자귀나무, 배롱나무, 산수유 등
  • 관목류 : 철쭉류, 수국, 명자나무, 장미, 조팝나무, 낙상홍, 수수꽃다리, 옥향, 피라칸다, 무궁화, 병꽃나무, 진달래, 개나리 등

2. 산울타리 및 차폐 용수

개념

  • 산울타리 : 수목을 이용하여 도로나 옆집과의 경계 또는 담장 역할
  • 차폐용 : 미관을 해치는 장소를 가려주는 역할

수종

  • 지엽이 치밀한 상록수로 적당한 높이로 아랫가지가 오래도록 말라죽지 않으며 맹아력이 크고 불량한 환경조건에도 잘 견디는 수종으로 외관이 아름답고 번식이 용이한 수종
  • 수종 : 측백나무, 화백, 사철나무, 개나리, 명자나무, 피라칸다, 무궁화, 회양목, 탱자나무, 꽝꽝나무 등

3. 녹음 용수

개념

  • 강한 햇빛을 조절하기 위해 식재하는 나무
  •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낙엽이 져서 겨울에는 햇빛을 가리지 않아야 함

수종

  • 수관이 크고 큰 잎이 무성하며, 지하고가 높은 교목이 바람직함
  • 수종 : 느티나무, 칠엽수, 회화나무, 일본목련, 백합나무, 은행나무, 버즘나무, 벽오동 등

4. 방풍 용수

개념

  • 강한 바람을 막기 위하여 식재하는 수목
  • 방풍용 수종은 뿌리가 땅속 깊이 뻗는 심근성인 동시에 지간이 강해야 강풍에 손상을 입지 않음

수종

  • 가지가 강한 것, 심근성이며 지엽이 치밀한 수종
  • 일반적으로 상록활엽수보다 낙엽활엽수가 바람에 견디는 힘이 강하지만 겨울철 방풍을 위해서 건물 높이보다 높은 상록교목을 선정
  • 상록수 : 소나무, 곰솔, 향나무, 가시나무, 아왜나무, 독일가문비, 주목, 후박나무, 광나무, 화백, 잣나무, 삼나무, 구실잣밤나무, 감탕나무, 태산목, 굴거리나무 등
  • 낙엽수 : 느티나무, 버즘나무, 팽나무, 떡갈나무, 계수나무, 상수리나무 등

5. 방연 용수

개념

  • 대기오염물질이 수목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가스의 종류, 농도, 접촉시간, 접촉 시의 광선, 온도, 습도, 수목의 종류, 생육시기 등에 따라 다름

수종

  •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 : 비자, 솔송, 왜금송, 편백, 화백, 가이즈까향나무, 개비자나무, 향나무, 가시나무, 녹나무, 태산목, 사철나무, 벽오동, 칠엽수, 무궁화, 자귀나무, 쥐똥나무, 개암나무, 유카 등
  • 아황산가스에 약한 수종 : 독일가문비나무, 소나무, 대왕송,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삼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매실나무, 단풍나무 등
  • 자동차 배기가스에 강한 수종 : 비자나무, 가이즈까향나무, 녹나무, 감탕나무, 미루나무, 벽오동, 은행나무, 편백나무, 향나무, 쥐똥나무, 개나리, 히말라야시다 등
  • 자동차 배기가스에 약한 수종 : 단풍나무, 팽나무, 전나무, 소나무, 수수꽃다리, 화살나무, 금목서, 은목서, 목련 등

6. 방조 용수

개념

  • 매립지는 준설 퇴적 등 여러 가지 폐기물이 혼합되어 나쁜 지반을 형성하고 지하수에 의한 염분의 압출과 정체, 강염기와 강산성 상태 등 식물 생육에 불리한 환경임
  • 수목이 바닷바람이나 조수를 뒤집어쓰면 뿌리에 장해를 받아서 빠른 것은 침수 후 1시간 정도 지나면 고사상태가 되고 늦어도 서서히 쇠약해져 회복이 불가능해짐
  • 폭풍우 때에는 바람과 염분에 의한 이중부담으로 심한 피해를 입음

수종

  • 상록수 : 향나무, 소나무, 후박나무, 아왜나무, 녹나무, 식나무, 팽나무, 개비자나무, 굴거리나무, 돈나무, 식나무, 협죽도 등
  • 낙엽수 : 아까시나무, 회화나무, 느티나무, 산초나무, 가중나무, 은행나무 등

7. 방사 및 방진 용수

개념

  • 강가나 호수가 또는 해변의 모래땅에서 토사의 붕괴나 이동을 막기 위한 수종

수종

  • 가급적 단시일 내에 토양을 안정시킬 수 있고 맹아력이 우수한 것
  • 지상부가 무성하면서 잎이 바람에 상하지 않는 것
  • 사방의 경우는 조림에 유의하면서도 자연생태적 특성에 맞는 향토수종을 선정
  • 상록수 : 눈향나무, 동백나무, 사철나무, 보리장나무 등
  • 낙엽수 : 아까시나무, 싸리나무, 해당화, 오리나무, 쥐똥나무, 찔레나무 등

8. 방화 용수

개념

  • 잎에 수분함량이 많아 화재 시 불꽃이 수목이 접근하면 잎에서는 약 30~60초, 가지에서는 수분 동안 수증기가 방출되므로 방화 효과가 높은 수족을 선택해야 함
  • 잎의 방출 유효 수분은 함유 수분의 40~50%, 가지는 30~45%가 됨

수종

  • 방화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수목은 잎이 두텁고 함수량이 많으며 넓은 잎을 가진 치밀한 수관 부위를 이루는 상록수가 좋음
  • 상록수 : 금송, 광나무, 후피향나무, 아왜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녹나무, 식나무, 사철나무, 굴거리나무 등
  • 낙엽수 : 은행나무 등

9. 방설 용수

개념

  • 눈과 눈보라에 대한 저항성이 큰 수종

수종

  • 내한성이 강하고 눈의 무게와 풍압을 견디는 것
  • 눈이 아래로 쏟아질 수 있는 가지를 가진 것
  • 생육이 왕성한 지상부를 가진 심근성 수종
  • 소나무, 곰솔, 스트로브잣나무, 낙엽수, 독일가문비나무, 서양측백, 느릅나무, 갈참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