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조경기사 필기시험 4번째 과목인 조경식재 부분에서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조경식재 수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폐, 녹음, 미화 등 용도에 따라 수종을 적절하게 선정하여 설계 및 식재를 하여야 합니다. 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1. 미화 장식 용수 개념 공원 잔디밭, 건물이나 구조물 주위에 식재되어 경관을 장식 꽃이나 열매 또는 잎이 아름다운 나무를 단독 또는 군식 수종 교목류 :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주목, 동백나무, 자작나무, 목련, 모과나무, 꽃사과나무, 왕벚나무, 자귀나무, 배롱나무, 산수유 등 관목류 : 철쭉류, 수국, 명자나무, 장미, 조팝나무, 낙상홍, 수수꽃다리, 옥향, 피라칸다, 무궁화, 병꽃나무, 진달래, 개나리 등 2. 산울타리 및 차폐 용수 개념 산울타리 : 수목을 이용하여 도로나 옆집과의 경계 또는 담장 역할 차폐용 : 미관을 해치는 장소를 가려주는 역할 수종 지엽이 치밀한 상록수로 적당한 높이로 아랫가지가 오래도록 말라죽지 않으며 맹아력이 크고 불량한 환경조건에도 잘 견디는 수종으로 외관이 아름답고 번식이 용이한 수종 수종 : 측백나무, 화백, 사철나무, 개나리, 명자나무, 피라칸다, 무궁화, 회양목, 탱자나무, 꽝꽝나무 등 3. 녹음 용수 개념 강한 햇빛을 조절하기 위해 식재하는 나무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낙엽이 져서 겨울에는 햇빛을 가리지 않아야 함 수종 수관이 크고 큰 잎이 무성하며, 지하고가 높은 교목이 바람직함 수종 : 느티나무, 칠엽수, 회화나무, 일본목련, 백합나무, 은행나무, 버즘나무, 벽오동 등 4. 방풍 용수 개념 강한 바람을 막기 위하여 식재하는 수목 방풍용 수종은 뿌리가 땅속 깊이 뻗는 심근성인 동시에 지간이 강해야 강풍에 손상을 입지 않음 수종 가지가 강한 것, 심근성이며 지엽이 치밀한 수종 일반적으로 상록활엽수보다 낙엽활엽수가 바람에 견디는 힘이 강하지만 겨울철 방풍을 위해서 건물 높이보다 높은 상록교목을 선정 상록수 : 소나무, 곰솔, 향나무, 가시나무, 아왜나무, 독일가문비, 주목, 후박...

단풍나무

 

단풍나무 개요

 단풍나무는 동아시아 자생수목으로 낙엽활엽교목에 속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자생종인 복자기, 고로쇠나무 등과 외국 도입품종 포함 20여 종이 있습니다. 영문명으로 'Japanese maple', 'Palmate maple'으로 불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용과 땔감용으로 사용되었고 현재에도 조경수목으로 식재되며 일본 조경 및 정원, 분재로 사용됩니다.

 단풍나무의 크기는 종류에 따라 다양하고 수형도 원형이거나 항아리형 또는 수양버들처럼 가지가 아래로 쳐지는 형태를 가지기도 합니다.(세열단풍/수양단풍/공작단풍)

 잎은 5~9개의 손바닥 모양으로 가을에 이쁘게 단풍이 드는 게 매력인 수종이며 잎의 질감이 수종마다 다양합니다. 꽃은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기에 관상가치가 없으며 열매는 두 개의 날개가 달린 시과(날개가 달려 바람을 타고 이동함)로 9~10월에 익습니다. 열매 날개의 각도로 품종을 구분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영문명 - Japanese maple
  • 식물 학명 - Acer palmatum
  • 과(family) - Sapindaceae(무환자나무과)
  • 성장 - 높이 6~10미터, 폭 4.5~10미터
  • 요구 광량 - 반양지
  • 토양 - 수분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
  • 흙 pH - 산성
  • 개화시기 - 봄(5월)
  • 꽃 색 - 붉은색, 자주색, 검붉은색
  • 내한성 - 영하 28.9℃
  • 원산지 - 아시아

재배종이 다양하며 재배 종마다 크기 컬러 모양 잎 질감도 다양합니다. 유명한 재배종으로는 'Coonara pygmy', 'Villa Tarant', Wolff(Emperor I)', 'Sumi nagashi', 'Red Dragon', 'Bloodgood', Crimson Queen' 등 있습니다.

단풍나무 관리

조경수로 적합한 단풍나무는 맞는 조건에 식재한다면 관리가 그리 어렵지는 않고 성장 속도가 비교적 빠른 편입니다.

  • 요구 광량 - 반양지, 반음지에서 자라며 서향의 강한 햇빛을 싫어하고 줄기에 강한 해를 받으면 수세가 나빠집니다. 또한 품종마다 원하는 광량이 다르기에 구매 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 토양 - 수분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을 좋아하며 양토나 모래가 많은 토양에서도 잘 자라지만 알칼리 토양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 관수 - 정기적으로 관수를 해주는 게 좋습니다. 토양의 수준이 유지되도록 멀칭을 해주는 게 좋으며 식재한 나무가 잘 정착될 때까지는 관수를 해줘야 합니다.
  • 습도 및 온도 - 적엽 품종은 녹엽 품종보다 잎이 그을리기 쉽기 때문에 덥고 건조한 기후에서는 녹엽 품종을 식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맞은 습도에서도 잘 견디며 영하 23.3℃까지 견딜 수 있고 28.9℃까지 견딜 수 있는 품종도 있습니다.
  • 시비 - 식재한 단풍나무는 늦겨울이나 2년 차 초봄에 시비를 하는 게 좋습니다. 뿌리가 고사할 수 있으니 액체비료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 전정 - 전정이 거의 필요 없지만 묘목 시기에는 맹아지 도장지 등을 전정해주어야 합니다.
  • 번식 - 삽목, 접목, 종자로 번식합니다.
  • 병충해 - 주요 병해로는 가지마름병, 흰가루병, 타로점무늬병이 있고 충해로는 진사진딧물, 줄솜깍지벌레, 하늘소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