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조경기사 필기시험 4번째 과목인 조경식재 부분에서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조경식재 수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폐, 녹음, 미화 등 용도에 따라 수종을 적절하게 선정하여 설계 및 식재를 하여야 합니다. 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1. 미화 장식 용수 개념 공원 잔디밭, 건물이나 구조물 주위에 식재되어 경관을 장식 꽃이나 열매 또는 잎이 아름다운 나무를 단독 또는 군식 수종 교목류 :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주목, 동백나무, 자작나무, 목련, 모과나무, 꽃사과나무, 왕벚나무, 자귀나무, 배롱나무, 산수유 등 관목류 : 철쭉류, 수국, 명자나무, 장미, 조팝나무, 낙상홍, 수수꽃다리, 옥향, 피라칸다, 무궁화, 병꽃나무, 진달래, 개나리 등 2. 산울타리 및 차폐 용수 개념 산울타리 : 수목을 이용하여 도로나 옆집과의 경계 또는 담장 역할 차폐용 : 미관을 해치는 장소를 가려주는 역할 수종 지엽이 치밀한 상록수로 적당한 높이로 아랫가지가 오래도록 말라죽지 않으며 맹아력이 크고 불량한 환경조건에도 잘 견디는 수종으로 외관이 아름답고 번식이 용이한 수종 수종 : 측백나무, 화백, 사철나무, 개나리, 명자나무, 피라칸다, 무궁화, 회양목, 탱자나무, 꽝꽝나무 등 3. 녹음 용수 개념 강한 햇빛을 조절하기 위해 식재하는 나무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낙엽이 져서 겨울에는 햇빛을 가리지 않아야 함 수종 수관이 크고 큰 잎이 무성하며, 지하고가 높은 교목이 바람직함 수종 : 느티나무, 칠엽수, 회화나무, 일본목련, 백합나무, 은행나무, 버즘나무, 벽오동 등 4. 방풍 용수 개념 강한 바람을 막기 위하여 식재하는 수목 방풍용 수종은 뿌리가 땅속 깊이 뻗는 심근성인 동시에 지간이 강해야 강풍에 손상을 입지 않음 수종 가지가 강한 것, 심근성이며 지엽이 치밀한 수종 일반적으로 상록활엽수보다 낙엽활엽수가 바람에 견디는 힘이 강하지만 겨울철 방풍을 위해서 건물 높이보다 높은 상록교목을 선정 상록수 : 소나무, 곰솔, 향나무, 가시나무, 아왜나무, 독일가문비, 주목, 후박...

아왜나무

 아왜나무는 잎에 수분을 많이 함유한 대표적은 방화수종으로 상록활엽소교목입니다. 다른 말로는 산호수라고 하기도 하며 불에 태우면 거품이 나와서 일본에서는 아와부끼 나무라고 합니다. 이 아와부끼를 따라 학명이 정해졌습니다.

개요

  • 영명 - Awabuki sweet viburnum
  • 식물학명 - Viburnum odoratissimum var.awabuki
  • 과(family) - Caprifoliaceae(인동과)
  • 성장 - 높이 4 ~ 10m, 폭 4 ~ 8m
  • 요구광량 - 양지, 반음지
  • 토양 - 습기가 있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
  • 흙 pH - 중성, 산성, 알칼리
  • 내한성 - 0℃ 이상
  • 원산지 - 한국(제주도), 일본, 타이완, 중국
  • 생육적정온도 - 16 ~ 20
  • 습도 - 40% ~ 70%

잎, 꽃, 열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으로 광택이 나며 잎자루는 붉은빛이 납니다. 흰색 또는 연한 홍색 꽃이 6~7월에 핍니다. 꽃말은 "지옥에 간 목사"입니다.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9~10월에 붉은색으로 나고 검은색으로 익습니다.

번식

파종과 삽목으로 번식합니다. 파종은 가을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과육을 제거하고 바로 파종하거나 노천매장하였다가 다음 해 파종합니다.

삽목은 숙지삽을 3~4월에 삽목 하거나 녹지삽을 6~7월에 삽목 합니다. 삽목 이후 뿌리가 나는데 1~2개월 정도 걸립니다.

병충해

병충해가 적은 편입니다. 6월에 아왜나무잎벌레가 발생하여 새잎을 먹어 피해를 줄 수 있어 방제를 해줘야 합니다. 또한 응애나 깍지벌레의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활용

잎, 꽃, 열매를 관상하는 식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바닷가 조경이나 방풍용, 생울타리용으로 적합하고 방화용수로 사용합니다. 내공해성이 강해 도심지의 가로수로도 활용합니다.

실내식물로 키우기

실내에서 관리하기 쉬운 편으로 초보자도 무리 없이 키울 수 있습니다.

  • 광요구도 - 중간광도(800 ~ 1,500 Lux), 높은 광도(1,500 ~ 10,000 Lux)
  • 배치장소
    • 거실내측 - 실내깊이 300 ~ 500cm
    • 거실창측 - 실내깊이 150 ~ 300cm
    • 발코니내측 - 실내깊이 50 ~ 150cm
    • 발코니창측 - 실내깊이 0 ~ 50cm
  • 관수
    • 봄 ~ 가을 - 토양표면이 말랐을 때 충분히 관수함
    • 겨울 - 화분 흙 대부분 말랐을 때 충분히 관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