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조경기사 필기시험 4번째 과목인 조경식재 부분에서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조경식재 수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폐, 녹음, 미화 등 용도에 따라 수종을 적절하게 선정하여 설계 및 식재를 하여야 합니다. 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1. 미화 장식 용수 개념 공원 잔디밭, 건물이나 구조물 주위에 식재되어 경관을 장식 꽃이나 열매 또는 잎이 아름다운 나무를 단독 또는 군식 수종 교목류 :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주목, 동백나무, 자작나무, 목련, 모과나무, 꽃사과나무, 왕벚나무, 자귀나무, 배롱나무, 산수유 등 관목류 : 철쭉류, 수국, 명자나무, 장미, 조팝나무, 낙상홍, 수수꽃다리, 옥향, 피라칸다, 무궁화, 병꽃나무, 진달래, 개나리 등 2. 산울타리 및 차폐 용수 개념 산울타리 : 수목을 이용하여 도로나 옆집과의 경계 또는 담장 역할 차폐용 : 미관을 해치는 장소를 가려주는 역할 수종 지엽이 치밀한 상록수로 적당한 높이로 아랫가지가 오래도록 말라죽지 않으며 맹아력이 크고 불량한 환경조건에도 잘 견디는 수종으로 외관이 아름답고 번식이 용이한 수종 수종 : 측백나무, 화백, 사철나무, 개나리, 명자나무, 피라칸다, 무궁화, 회양목, 탱자나무, 꽝꽝나무 등 3. 녹음 용수 개념 강한 햇빛을 조절하기 위해 식재하는 나무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낙엽이 져서 겨울에는 햇빛을 가리지 않아야 함 수종 수관이 크고 큰 잎이 무성하며, 지하고가 높은 교목이 바람직함 수종 : 느티나무, 칠엽수, 회화나무, 일본목련, 백합나무, 은행나무, 버즘나무, 벽오동 등 4. 방풍 용수 개념 강한 바람을 막기 위하여 식재하는 수목 방풍용 수종은 뿌리가 땅속 깊이 뻗는 심근성인 동시에 지간이 강해야 강풍에 손상을 입지 않음 수종 가지가 강한 것, 심근성이며 지엽이 치밀한 수종 일반적으로 상록활엽수보다 낙엽활엽수가 바람에 견디는 힘이 강하지만 겨울철 방풍을 위해서 건물 높이보다 높은 상록교목을 선정 상록수 : 소나무, 곰솔, 향나무, 가시나무, 아왜나무, 독일가문비, 주목, 후박...

산수유나무

 산수유나무는 층층나무과, 낙엽활엽소교목으로 개나리보다 먼저 꽃이 핍니다. 그래서 봄의 전령사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잎보다 먼저 20~30개의 작은 꽃이 모여 개화합니다.  꽃말은 "영원불멸의 사랑"이며 한반도 전역과 중국에 자생하고 우리나라는 주로 중부 이남에서 기르고 있습니다. "킨토키"라 명명된 재배종이 있습니다.

개요

  • 영명 - Japanese cornelian cherry
  • 식물학명 - Cornus officinalis
  • 과(family) - Cornaceae(층층나무과)
  • 성장 - 폭 4~8m, 높이 4~8m
  • 토양 - 습기가 있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
  • 흙 pH - 산성, 중성
  • 내한성 - 영하 20℃ 이상
  • 원산지 - 한국, 중국

생강나무와의 차이

산수유나무와 생강나무를 헷갈려하기도 합니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산수유나무생강나무
과(family)층층나무과녹나무과
냄새꽃 또는 나무껍질을 벗겨도 생강냄새가 나지 않음꽃 또는 나무껍질을 벗기면 생강냄새가 남
어린 가지회색녹색
수피거침매끈함
양성화(하나의 꽃에 암술, 수술 보유), 꽃받침과 꽃잎의 구분이 뚜렷함, 꽃자루 길이가 1cm정도암수 딴그루(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나무에 핌), 꽃받침과 꽃잎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음, 꽃자루가 없거나 매우 짧음
열매타원형이며 붉게 익음원형이며 검게 익음
자생지산, 들, 마을산지(산비탈)

잎, 꽃, 열매, 수피

  • 잎은 산딸나무와 비슷한 형태로 장타원형이며 마주나기로 납니다.
  • 잎이 나기 전에 노란 꽃이 피며 20~30개의 꽃이 모여서 핍니다. 꽃받침과 꽃잎의 구분이 뚜렷하며 꽃자루의 길이가 1cm 정도 됩니다. 양성화입니다.
  •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습니다.
  • 수피는 회갈색으로 오래되면 표피가 벗겨집니다.

열매 사용처

 열매는 단맛과 떫은맛과 강한 신맛이 납니다. 10월 중순, 상강 이후에 수확하여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고 과육을 술과 차, 한약재로 사용됩니다.

 다만, 몸에 부종이 있고 열이 많아 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 섭취는 권하지 않습니다.

번식

주로 종자재배를 합니다. 가을에 채취한 열매를 과육을 잘 씻어낸 후 1년 또는 2년간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합니다. 여름에 반숙지삽을 삽목 하여 번식하기도 합니다.

전정

특별히 전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생장이 빠르고 맹아력이 강한 편이라 수형을 잡기 위해 전정을 하기도 합니다.

병충해

봄철에 비가 잦고 낮은 기온이 지속되면 산수유두창병(층층나무두창병)이 발생합니다. 병든 잎과 가지는 늦가을에 제거하여 소각합니다. 여름철에 비가 많이 내리면 산수유점무늬병이 발생합니다. 잎에 많은 병반이 나타나 미관을 해치며 7~9월에 병반 잎을 제거하여 소각합니다. 해충으로는 흰불나방, 수유깍지벌레, 잎말좀나방, 좀나방이 있습니다.

조경적 이용

꽃과 열매, 단풍을 감상하는 수종으로 전통조경에 어울리며 단식 또는 군식으로 식재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