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조경기사 필기시험 4번째 과목인 조경식재 부분에서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조경식재 수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폐, 녹음, 미화 등 용도에 따라 수종을 적절하게 선정하여 설계 및 식재를 하여야 합니다. 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1. 미화 장식 용수 개념 공원 잔디밭, 건물이나 구조물 주위에 식재되어 경관을 장식 꽃이나 열매 또는 잎이 아름다운 나무를 단독 또는 군식 수종 교목류 :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주목, 동백나무, 자작나무, 목련, 모과나무, 꽃사과나무, 왕벚나무, 자귀나무, 배롱나무, 산수유 등 관목류 : 철쭉류, 수국, 명자나무, 장미, 조팝나무, 낙상홍, 수수꽃다리, 옥향, 피라칸다, 무궁화, 병꽃나무, 진달래, 개나리 등 2. 산울타리 및 차폐 용수 개념 산울타리 : 수목을 이용하여 도로나 옆집과의 경계 또는 담장 역할 차폐용 : 미관을 해치는 장소를 가려주는 역할 수종 지엽이 치밀한 상록수로 적당한 높이로 아랫가지가 오래도록 말라죽지 않으며 맹아력이 크고 불량한 환경조건에도 잘 견디는 수종으로 외관이 아름답고 번식이 용이한 수종 수종 : 측백나무, 화백, 사철나무, 개나리, 명자나무, 피라칸다, 무궁화, 회양목, 탱자나무, 꽝꽝나무 등 3. 녹음 용수 개념 강한 햇빛을 조절하기 위해 식재하는 나무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낙엽이 져서 겨울에는 햇빛을 가리지 않아야 함 수종 수관이 크고 큰 잎이 무성하며, 지하고가 높은 교목이 바람직함 수종 : 느티나무, 칠엽수, 회화나무, 일본목련, 백합나무, 은행나무, 버즘나무, 벽오동 등 4. 방풍 용수 개념 강한 바람을 막기 위하여 식재하는 수목 방풍용 수종은 뿌리가 땅속 깊이 뻗는 심근성인 동시에 지간이 강해야 강풍에 손상을 입지 않음 수종 가지가 강한 것, 심근성이며 지엽이 치밀한 수종 일반적으로 상록활엽수보다 낙엽활엽수가 바람에 견디는 힘이 강하지만 겨울철 방풍을 위해서 건물 높이보다 높은 상록교목을 선정 상록수 : 소나무, 곰솔, 향나무, 가시나무, 아왜나무, 독일가문비, 주목, 후박...

산림청 조림 권장 수종

 산림청에서는 국토의 65%를 차지하는 산림을 보다 가치 있는 자원으로 만들고 이용가치가 적은 불량림을 경제림으로 조성하고 산불피해지 녹화 및 아름다운 경관림을 조성하고자 조림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의 목적을 위하여 조림 권장 수종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산림청 조림 권장 수종(78종) 산림청 조림 권장 수종(78종) 용도 수종 용재수종(27) 소나무 , 잣나무 , 낙엽송 , 가문비나무 , 구상나무 , 편백 , 분비나무 , 삼나무 , 자작나무 , 음나무 , 버지니아소나무 , 상수리나무 , 졸참나무 , 스트로브잣나무 , 피나무 , 노각나무 , 서어나무 , 가시나무 , 박달나무 , 거제수나무 , 이태리포플러 , 물푸레나무 , 오동나무 , 리기테다소나무 , 황철나무 , 백합나무 , 들메나무 유실수종(4) 밤나무 , 호두나무 , 대추나무 , 감나무 조경수종(20) 은행나무 , 느티나무 , 복자기 , 마가목 , 벚나무 , 층층나무 , 매자나무 , 화살나무 , 산딸나무 , 쪽동백 , 채진목 , 이팝나무 , 때죽나무 , 가죽나무 , 당단풍나무 , 낙우송 , 회화나무 , 칠엽수 , 향나무 , 꽝꽝나무 , ( 백합나무) 특용수종(12) 옻나무 , 다릅나무 , 쉬나무 , 두충 , 두릅나무 , 단풍나무 , ( 음나무) , 느릅나무 , 동백나무 , 후박나무 , 황칠나무 , 산수유 , 고로쇠나무 내공해수종(8) 산벚나무 , ( 때죽나무) , 사스레피나무 , 오리나무 , 참죽나무 , 벽오동 , 해송 , ( 은행나무) , ( 상수리나무) , ( 가죽나무) , 까마귀쪽나무 , 버즘나무 내음수종(4) ( 서어나무) , ( 음나무) , 주목 , 녹나무 , 전나무 , 비자나무 내화수종(3) 황벽나무 , 굴참나무 , 아왜나무 , ( 동백나무) *(  )는 중복 수종임 바이오매스용 수종 - 백합나무 , 리기테다소나무 , 참나무류 , 포플러류 , 아까시나무 , 자작나무 등 경제림 조성용 중점 조림 수종 및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조림 권장 수종 경제림 조성용 중점 조림...

아왜나무

 아왜나무는 잎에 수분을 많이 함유한 대표적은 방화수종으로 상록활엽소교목입니다. 다른 말로는 산호수라고 하기도 하며 불에 태우면 거품이 나와서 일본에서는 아와부끼 나무라고 합니다. 이 아와부끼를 따라 학명이 정해졌습니다. 개요 영명 - Awabuki sweet viburnum 식물학명 - Viburnum odoratissimum var.awabuki 과(family) - Caprifoliaceae( 인동과) 성장 - 높이 4 ~ 10m, 폭 4 ~ 8m 요구광량 - 양지, 반음지 토양 - 습기가 있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 흙 pH - 중성, 산성, 알칼리 내한성 - 0℃ 이상 원산지 - 한국(제주도), 일본, 타이완, 중국 생육적정온도 - 16 ~ 20 ℃ 습도 - 40% ~ 70% 잎, 꽃, 열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으로 광택이 나며 잎자루는 붉은빛이 납니다. 흰색 또는 연한 홍색 꽃이 6~7월에 핍니다. 꽃말은 "지옥에 간 목사"입니다.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9~10월에 붉은색으로 나고 검은색으로 익습니다. 번식 파종과 삽목으로 번식합니다. 파종은 가을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과육을 제거하고 바로 파종하거나 노천매장하였다가 다음 해 파종합니다. 삽목은 숙지삽을 3~4월에 삽목 하거나 녹지삽을 6~7월에 삽목 합니다. 삽목 이후 뿌리가 나는데 1~2개월 정도 걸립니다. 병충해 병충해가 적은 편입니다. 6월에 아왜나무잎벌레가 발생하여 새잎을 먹어 피해를 줄 수 있어 방제를 해줘야 합니다. 또한 응애나 깍지벌레의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활용 잎, 꽃, 열매를 관상하는 식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바닷가 조경이나 방풍용, 생울타리용으로 적합하고 방화용수로 사용합니다. 내공해성이 강해 도심지의 가로수로도 활용합니다. 실내식물로 키우기 실내에서 관리하기 쉬운 편으로 초보자도 무리 없이 키울 수 있습니다. 광요구도 - 중간광도(800 ~ 1,500 Lux), 높은 광도(1,500 ~ 10,000 Lux) 배치장소 거실내측 - ...

산수유나무

 산수유나무는 층층나무과, 낙엽활엽소교목으로 개나리보다 먼저 꽃이 핍니다. 그래서 봄의 전령사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잎보다 먼저 20~30개의 작은 꽃이 모여 개화합니다.  꽃말은 "영원불멸의 사랑"이며 한반도 전역과 중국에 자생하고 우리나라는 주로 중부 이남에서 기르고 있습니다. "킨토키"라 명명된 재배종이 있습니다. 개요 영명 - Japanese cornelian cherry 식물학명 - Cornus officinalis 과(family) - Cornaceae(층층나무과) 성장 - 폭 4~8m, 높이 4~8m 토양 - 습기가 있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 흙 pH - 산성, 중성 내한성 - 영하 20℃ 이상 원산지 - 한국, 중국 생강나무와의 차이 산수유나무와 생강나무를 헷갈려하기도 합니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산수유나무 생강나무 과(family) 층층나무과 녹나무과 냄새 꽃 또는 나무껍질을 벗겨도 생강냄새가 나지 않음 꽃 또는 나무껍질을 벗기면 생강냄새가 남 어린 가지 회색 녹색 수피 거침 매끈함 꽃 양성화(하나의 꽃에 암술, 수술 보유), 꽃받침과 꽃잎의 구분이 뚜렷함, 꽃자루 길이가 1cm정도 암수 딴그루(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나무에 핌), 꽃받침과 꽃잎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음, 꽃자루가 없거나 매우 짧음 열매 타원형이며 붉게 익음 원형이며 검게 익음 자생지 산, 들, 마을 산지(산비탈) 잎, 꽃, 열매, 수피 잎은 산딸나무와 비슷한 형태로 장타원형이며 마주나기로 납니다. 잎이 나기 전에 노란 꽃이 피며 20~30개의 꽃이 모여서 핍니다. 꽃받침과 꽃잎의 구분이 뚜렷하며 꽃자루의 길이가 1cm 정도 됩니다. 양성화입니다.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습니다. 수피는 회갈색으로 오래되면 표피가 벗겨집니다. 열매 사용처  열매는 단맛과 떫은맛과 강한 신맛이 납니다. 10월 중순, 상강 이후에 수확하여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고 과육을 술과 차, 한약재로 사용됩니다.  다...

단풍나무

  단풍나무 개요  단풍나무는 동아시아 자생수목으로 낙엽활엽교목에 속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자생종인 복자기, 고로쇠나무 등과 외국 도입품종 포함 20여 종이 있습니다. 영문명으로 'Japanese maple', 'Palmate maple'으로 불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용과 땔감용으로 사용되었고 현재에도 조경수목으로 식재되며 일본 조경 및 정원, 분재로 사용됩니다.  단풍나무의 크기는 종류에 따라 다양하고 수형도 원형이거나 항아리형 또는 수양버들처럼 가지가 아래로 쳐지는 형태를 가지기도 합니다.(세열단풍/수양단풍/공작단풍)  잎은 5~9개의 손바닥 모양으로 가을에 이쁘게 단풍이 드는 게 매력인 수종이며 잎의 질감이 수종마다 다양합니다. 꽃은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기에 관상가치가 없으며 열매는 두 개의 날개가 달린 시과(날개가 달려 바람을 타고 이동함)로 9~10월에 익습니다. 열매 날개의 각도로 품종을 구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영문명 - Japanese maple 식물 학명 - Acer palmatum 과(family) - Sapindaceae(무환자나무과) 성장 - 높이 6~10미터, 폭 4.5~10미터 요구 광량 - 반양지 토양 - 수분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 흙 pH - 산성 개화시기 - 봄(5월) 꽃 색 - 붉은색, 자주색, 검붉은색 내한성 - 영하 28.9℃ 원산지 - 아시아 재배종이 다양하며 재배 종마다 크기 컬러 모양 잎 질감도 다양합니다. 유명한 재배종으로는 'Coonara pygmy', 'Villa Tarant', Wolff(Emperor I)', 'Sumi nagashi', 'Red Dragon', 'Bloodgood', Crimson Queen' 등 있습니다. 단풍나무 관리 조경수로 적합한 단풍나무는 맞는 조건에 식재한다면 관리가 그리 어렵지는 않고 성장 속도가 비교적 빠른 편입니다. 요구 광량 - 반...

은청가문비 나무

  은청가문비 나무 개요 은청가문비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입니다. 콜로라도주의 주목으로 록키산맥이 원산지로 23미터까지 자랍니다. 정원이나 공원에 식재된 경우에는 높이가 10에서 20미터, 폭은 5미터까지 성장하기도 합니다. 장기수로 정원수, 가로수, 기념식수, 크리스마스트리로 사용되는 나무입니다. 온화한 기후에서는 연중 내내 식재 가능하지만 추운 겨울이나 서리가 내리는 곳에서는 나무가 휴면하는 늦은 겨울이나 이른 봄에 식재하는 것이 좋고 만약 이러한 기후에서 초가을 식재할 경우 동해를 입거나 뿌리를 제외한 지상부가 죽을 수 있습니다. 영명 - Blue Spruce, Green Spruce, Colorado Spruce, Colorado Blue Spruce 식물 학명 - Picea pungens 과(Family) - Pinaceae (소나무과) 성장 - 높이 23미터, 폭 4~6미터 요구 광량 - 양지 토양 - 점토 비율이 약 25~40%인 양토, 점토 또는 모래이고 양분과 수분이 풍부하며 배수가 잘되는 토양 흙 pH - 산성이나 중성 내한성  - 영하 46.5까지 생존 가능 원산지 - 북미 재배종으로는 'Glauca Globosa' ,  'Fat Albert', 'Glauca Jean's Dilly', 'Glauca Pendula', 'Hoopsii' , 'Koster' , 'Baby Blue Eyes' , 'Baby Blue', ' Bakeri', ' Moerheimii ', ' Montgomery ' 등이 있습니다. 은청가문비 나무 관리 은청가문비 나무는 처음 식재할 때만 정기적으로 물을 주면 되기 때문에 관리가 쉬운 편입니다. 식재 후 멀칭을 하면 수분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일 년에 한 번 질소비료를 주고 하루에 몇 시간 정도 여과된 햇빛이 있는 곳에서 잘 자랍니다. 하...

조경 수목의 성상별 분류 및 심근성, 천근성 수종

 조경수목의 성상별 분류 수목의 크기에 대한 분류 교목-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명확하고 중심줄기의 생장이 현저한 나무로 키가 8m이상 자라는 나무를 말합니다. 키가 2~8m되는 나무는 아교목이라고 구분하기도 합니다. 주요수종-주목,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향나무, 개잎갈나무, 동백나무, 은행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느티나무, 계수나무, 백목련, 모과나무, 왕벚나무, 살구나무, 팥배나무, 단풍나무, 배롱나무,버즘나무, 산수유, 감나무, 대추나무, 회화나무, 후박나무,낙우송 등   관목 - 덤불로 자라는 나무로 줄기와 가지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키 작은 나무를 말하며 2~3m이하의 나무입니다. 주요수종-옥향, 돈나무, 피라칸다, 회양목, 사철나무, 팔손이, 협죽도, 모란, 수국, 명자나무, 장미, 조팝나무, 박태기나무, 탱자나무, 낙상홍, 진달래, 철쭉, 쥐똥나무, 수수꽃다리, 무궁화, 매자나무, 불두화, 눈주목 등   덩굴성 수목 - 만경목이라고도 하며 등이나 담쟁이덩굴과 같이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는 나무를 말합니다. 주요수종-등, 으름덩굴, 담쟁이덩굴, 인동덩굴, 포도나무, 송악, 머루, 오미자 등